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독자편지
꿰매도 아물지 않는 것

주말에 가끔 병원에서 진료할 기회가 있다. 토요일 소규모 작업장들이 늘어선 서울 성동구의 자그만 병원에 있다 보면 이 땅에 소외받은 자들이 하나둘 모여든다. 많은 질환과 긴 처방일로 채워진 처방전을 가질수록 소외 정도가 큰 자들이다.

겨우 주말 점심시간을 할애해 올 수밖에 없고 언제 다시 올 수 있을지 모르니 온갖 종류의 약을 최대한 길게 달라고 조르는 사람들. 그들은 다름 아닌 이주노동자들이다.

ⓒ이윤선

유해 환경에 얼마나 노출됐던지 벌겋게 충혈된 눈으로 호흡곤란과 피부 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보고 있자면, 답답한 소리인 줄 알지만 “이렇게 죽어 가려고 한국에 온 거냐”며 화를 내게 된다. “노동계급의 가장 억압받는 부문은 언제나 자본주의의 가장 추악한 얼굴을 보여 준다”는 작고한 영국의 사회주의자 토니 클리프의 말은 청진기와 설압자를 통해 명확하게 입증된다.

자그만 개인 병원에서 조처할 수 없을 만큼 다쳐서 오는 사람들은 부지기수다. 마르크스가 말한 ‘유적 존재로부터의 소외’란 것이 이런 것일까? 오히려 안쓰러워 인상을 찌푸리는 것은 나고 당사자는 태연하다. 자포자기한듯 큰 병원으로 가라는 말에 아랑곳하지 않고 모호한 미소를 띄우며 그냥 꿰매 달란다. 그들이라고 왜 아프지 않겠는가? 그들이라고 그 떨어져 나간 살점에 어찌 눈물짓지 않겠는가? 여기서 안 꿰매 주면 돈 없어서 큰 병원 못 가니까 제발 다시 일할 수 있을 만큼만 어떻게 해 달라는 그 말을 삼키고 내게 짓는 그 모호한 미소. 그 미소에 난 결국 응답할 수밖에 없다.

중간관리자나 사장과 함께 오는 경우는 더욱 가관이다. “야, 압둘라야, 괜찮지? 그래 괜찮아. 선생님, 얘 그냥 일하다 좀 다친 거 같은데 어차피 뼈는 안 다친 거 같으니까 대충 꿰매 주세요.” 자기 핸드폰을 떨어뜨려도 그거보다는 안타까워할 것 같다. “당신은 나가 있어요!” 고함을 지르고 이주노동자와 함께 한숨을 쉬며 호흡을 맞추게 된다. 소외, 착취, 계급 적대는 보이지 않는 먼 개념이 아니라 이처럼 아프도록 구체적인 현실이다.